한단계씩 이해하기/재무제표의 이해

대차대조표 자산의 이해

im.grace 2009. 4. 6. 22:44


대차대조표에서 자산이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창출해줄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자산의 분류>

 

1.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 당좌자산 : 유동자산중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투자자산, 매출채권, 선급비용 등)

    - 재고자산 : 제품이나 상품이 제조과정을 거친뒤 구매해줘야 비로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상품(제품), 재공품, 원재료, 소모품 등)

※ 유동화가 빠른 순으로 대차대조표에서 앞쪽에 위치함 ( 당좌자산 > 재고자산)

 

2. 비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 하지 못하는 자산

    - 투자자산 : 장기적인 투자수익을 얻기 위해 보유하는 투자 자산

                      (투자부동산, 매도가능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 장기대여금 및 영업활동 등)

    - 유형자산 : 영업활동이나 자가사용 목적으로 1년 이상 보유하고 있는 실체가 있는 자산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건설중인자산 등)

    - 무형자산 :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실체가 없는 자산

                       (영업권, 산업재산권, 개발비, 컴퓨터 소프트웨어, 영업권, 광업권 등)

    - 기타비유동자산 : 투자수익이 없고 유형자산이나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비유동자산

                              (이연법인세자산, 임차보증금,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등)

 

 ※  비유동자산의 유동선 순서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비유동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