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급성장으로 플래시 메모리 시장 확대
스마트폰 기기 급부상 → 모바일 운영체제 변화 → 모바일 메모리 → PC 메모리 변화
스마트폰 기기 급부상으로 태블릿PC시장 확대, PC시장까지 넘보는 상황
모바일 운영체제 변화가 메모리 시장의 변화 선두 주자 (과거 PC시장 중심으로 메모리 변화)
플래시 메모리는 모바일 정보기기의 급격한 성장으로 각광 (NAND와 NOR 플래쉬)
메모리 업체들간의 플래시 메모리 시장 경쟁으로 플래시 메모리 시장 대중화, 가격 하락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변화는 반도체 재료와 장비가 관건
모바일 어플에 맞는 운영체제 변화 지속 → 모바일 CPU (초고속 처리) → 저전력, 고용량 SSD 요구
모바일운영체제의 변화는 과거PC 운영체제 변화기 겪듯이 메모리 업체들에게 큰 변화 계기(마이크론 업체 성장기)
MAC OS X 10.5(아이폰 내장 운영체는 NAND에서만 운영됨)
2008년 SDK 2.0버전 운영체제 공개소 애플의 앱스토어 오픈 마켓 구현
3.0부터 아이팟 터치에서도 블루투스 지원 가능했고 2010년 6월부터 ISO 4.0배포해 현재 4.2업그레이드
구글 안드로이드 역시 2005년 7월 구글이 안드로이드 인수하면서 시작
2010년 12월 진저브레이드 출시로 NCF지원 가능, 최근 CES발표에서 3D지도 가진 구글 지도 서비스 추가
모바일 시장은 PC의 고사양화와 비슷하게 움직인다 (듀얼코어, 1G를 넘어 2GB DRAM을 넘보는 상황)
빠른 속도에 고용량 필수화 (예를 들어 어플 실행시 저장된 앱을 실행시 DRAM에 올려지게 되는 과정 필수)
모바일 DRAM은 Nand Flash의 차세대 저장장치 SSD추세로 변화
운영체제의 변화(PC,모바일) → 인텔 CPU 독점 시장에 반격 → ARM(영국)기반 CPU 적용
ARM 기반 프로세서 제조업체들이 겨냥한 것은 통합칩 시장 ( CPU + GPU = APU )
윈도8은 ARM을 기반으로 움직이고 있고 이것은 장기적으로 PC시장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놓음
계기는 MS가 태블릿 친화적인 운영체제 윈도우 8을 인텔과 ARM 두프로세서에서 함께 지원하기로 한 데 있음
또한 CES에서 엔비디아와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가 ARM기반 윈도8 시스템온칩(SoC)을 지원할 것이라 밝힘
ARM프로세서가 노트북과 데스크톱 PC 마이크로 프로세서 시장의 15 %까지 점유율을 확대할 것으로 예측(15년)
노트북, 넷북 ARM 프로세서를 적용해 스마트북이라는 개념으로 소개된 바 있음(갤럭시S, 애플 적용사례 확대)
PC시장 HDD 마이너스 성장 → 하이브리도 HDD, 외장하드 → PC메모리 SSD로 변화
씨게이트(Seagate Technology PLC)와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 실적 하회의 의미
HDD판매량이 당장 급격히 줄지는 않겠지만 완만하게 성장 또는 하락, HDD보다 NAND Flash가 대안
씨게이트는 HDD에서 살아남기위해 하이브리드 HDD와 SSD 모두를 전략으로 삼고 있음(서버용PC HDD만 수익)
(삼성은 반도체 사업부 내 HDD사업을 미국의 시게이트 테크놀로지에 매각 합의)
가트너, 2012년 SSD대중화, GB당 1달러 예상 → SSD경쟁은 사용량 증가, 가격하락
가트너는 낸드 플래시의 가격이 올해 30%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까지 추가적으로 36% 하락예상
배경으로는 소비자용 SSD가 2012년 가격 하락에 따라 대대적인 대중화에 돌입할 것이라고 가트너가 전망
기업 시장에서는 2010년에 이미 폭넓게 보급됐지만 소비자 시장에서는 높은 가격이 걸림돌로 작용
SSD는 현재 맥북 에어나 델 보스트로와 같은 노트북에서 1차 저장장치로 채택
PC 제조사들도 SSD를 옵션으로 제공하는 경우를 늘려가고 있음 (소음 적고, HDD보다 3배 빠르고 고용량, 고비용)
차세대 메모리 시장 변화 → 고부가 저장장치 대세 (서버용 하이브리드 HDD, NAND와 NOR플래시)
모바일, 태블릿 PC의 SSD경쟁 심화 → 조인트벤쳐 협력화 (SSD시장 선점 경쟁)
현재 플래시 시장에는 삼성과 도시바가 선두에 있고(저전력, 초고속, 대용량 차세대 낸드플래시)
마이크론(Micron)이 3위 (마이크론 대만 이노테라 인수 추진), 일본 엘피다와 대만 동맹의 주도권 경쟁
이런 가운데 일본 도시바가 세계 D램 모듈 1위 기업 킹스톤테크놀로지 및 낸드플래시메모리 콘트롤러 전문기업 파이슨(OEM형태)과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사업 협력에 나서면서 시장이 복잡해지고 있음
→ 마이크론은 뉴모닉스 인수(NOR Flash 3위업체)를 통해 기존 DRAM, NAND, SRAM에서 NOR추가
→ 삼성전자에 중립적(삼성 DRAM, NAND, NOR, AP), 하이닉스에 부정적
'한단계씩 이해하기 > 산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셋톱박스 산업 (0) | 2011.09.07 |
---|---|
국내외 핵심 IT부품업체 (0) | 2011.05.18 |
LED용 대구경 사파이어 잉곳 (0) | 2011.04.21 |
비메모리반도체 (0) | 2011.04.04 |
원자력 대체할 에너지 LNG부각 (0) | 201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