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분석
재무제표의 수치를 가공해서 회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보를 산출해내는 과정
<재무제표 분석의 방법>
1. 추세분석
수평적 분석이라고도 하는데, 2개 이상의 연속되 ㄴ회계기간의 재무제표 항목의 수치변동을 비교함으로써 의미 있는 정보를 산출해내는 분석방법
가령 올해 매출액과 작년 매출액을 비교해 올해의 성장 여부를 평가하거나, 과거 수년간의 수치를 비교해 회사가 현재 어떤 추세에 있는지를 평가
2. 백분율분석
각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항목들 간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해 그 의미를 평가흔 ㄴ방법으로서, 수직적 분석이라고도 함.
가령 매출액을 100으로 보았을때 매출원가,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법
3. 재무비율분석
재무제표상 개별항목 간의 비율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 또는 재무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주로 이용되는 재무제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임.
재무비율분석은 기업경영의 안전성과 활동성, 수익성, 성장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
재무지율분석에서 중시하는 지표는 4가지(안전성비율, 수익성비율, 활동성비율, 성장성비율)
<재무비율 분석 지표>
1. 안정성 비율
회사의 재무상태가 안전한지 여부를 측정하는 비율로 회사의 부도 위험을 측정하는 지표
회사의 단기지급능력, 타인자본에의 의존도 등을 측정하는 비율 등이 있음
유동성비율 : 회사의 단기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1년 이내에 상환할 유동부채를 유동자산으로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냄
이 비율이 150%가 넘으면 기업의 단기지급 능력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음.
은행에서 대출할 때 차입자의 단기지급 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됨
은행가비율(Banker's ratio)라고도함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유동자산 중에서 현금화가 늦고 불확실성이 높은 재고자산을 제외한 당좌자산으로 유동부채를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비율이 100%가 넘어야 안전하다고 평가함.
당좌비율은 유동비율보다 더 엄격하게 단기채무에 대한 지급능력을 평가함.
산성시험비율(Acid test ratio) 또는 신속비율이라고도함
2. 타인자본에의 의존성 평가
회사가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어느 정도나타인자본에 으존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비율
장기적 측면에서 회사의 재무적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부채비율 = 타인자본 / 자기자본
부채비율이 높으면 기업의 지급능력이 악화되어 재무적 위험이 높아짐
차입금 의존도 = (장,단기차입금 + 회사채) / 총자산
총자산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금융비용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과 안정성이 모두 떨어지게 됨
영업이익 대비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타인자본에 대한 대가인 이자지급에 필요한 수익을 회사가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이자부담 능력을 판단하는 데 유용함
고정장기적합률 = 유형자산 / (자기자본 + 비유동부채)
자기자본과 비유동부채가 유형자산에 어느 정도 투입되어 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유형자산은 장기에 걸쳐 사용하는 자산이므로 가능하면 자기자본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족한 경우에는 장기차입금의 형태로 조달하는 것이 기업의 안전성에 유리하다고 봄
3. 수익성비율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평가하는 지표
매출액이익률, 자본이익률, 주가수익률 등이 있음
매출액이익률
손익계산서상의 주요한 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매출총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기업의 판매활동의 수익성 또는 생산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
매출액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제조 및 판매활동과 직접 관계없는 영업외손익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을 매출액과 대비한것으로, 영업활동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
매출액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기업의 전체적인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자본이익률
자본투자에 대한 수익률을 평가하는 지표
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대비영업현금흐름비율
자본이익률 계산할 때는 기초자본과 기말자본의 평균액을 사용함
총자산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자산(=총자본)
기업에 투자한 총자산(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운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자기자본이익률(ROE : 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기업에 투자한주주들의 자금이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총자산대비영업현금흐름비율 = 영업활동현금흐름 / 평균총자산
총자산에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 현금주의로 평가하는 지표
총자산이익률보다 총자산대비영업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순이익의 질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음
주가 관련 수익성 지수
주당순이익(EPS) = 당기순이익 / 보통주식수
주식 한 단위당 순이익을타나태는 비율
기업의 수익력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지표 중 하나
주가수익률(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주가가 주당순이익에 비해어느 정도 평가되고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배당수익률 = 1주당 배당액 / 주가
주식투자자가 배당으로 얻은 수익률을 표시
4. 활동성비율
기업이 자신이 보유하는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회계기간 동안 매출을 일으키기 위해 각각의 자산이 몇 회나 활용되었는지, 즉 회전율이 얼마인지를 평가하는 것임. 활동성비율에는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평균매출채권
매출채권이회수되어 판매(매출)에 재투입되는 획수, 즉 회전율을 나타내는 지표
매출채권회전율이 클수록 현금화가 빨리 이루어짐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액 / 평균재고자산
재고자산이 당좌자산으로 변환되는 속도를 나타냄
유형자산회전율 = 매출액 / 평균유형자산
유형자산이 한 회계기간 동안 매출에 기여한 횟수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평균총자산
한회계기간 동안 총자산이 매출발행에 몇 회나 기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
5. 성장성비율
기업의 경영성과 또는 재무상태가 전기에 비해 당기에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당기순이익증가율,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전기대비 당기매출액의 증가 정도를 나태냄
영업이익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전기영업이익
전기대비 당기영업이익의 증가 정도를 나타냄
당기순이익증가율 = 당기순이익 / 전기순이익
전기대비 당기순이익의 증가 정도를 나타냄
총자산증가율 = 당기말총자산 / 전기말총자산
전기대비 당기총자산의 증가 정도
<재무비율분석의 한계와 유의사항>
재무비율분석은 회사의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에 대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한계가 있음. 이러한 한계를 무시하면 의사결정을 그르칠 수 있음
1. 재무비율분석의 기초자료는 기업이 작성한 공시한 자료로서, 과거의 자료임
2. 재무비율분석 지표는 한 기업의 비율분석에 불과하므로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없음
이와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재무비율 분석을 할때는 다음과 같이 유의해야 함
가. 기업이 공시한 재무제표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의견을 참고해야 하며, 다른 기업과 비교할 때는 대체적인 회게처리 방법으로 인한 효과를 반영해 평가함.
나. 기업의 재무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동종업계 평균비율 또는 동종업계 경쟁기업의 재무비율과 비교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한단계씩 이해하기 > 재무제표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의 주석 (0) | 2009.04.14 |
---|---|
자본변동표 (0) | 2009.04.14 |
현금흐름표 (0) | 2009.04.14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0) | 2009.04.08 |
손익계산서의 기본구조 (0) | 200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