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계씩 이해하기/산업의 이해

ETF시장의 이해

im.grace 2010. 4. 30. 20:35

ETF시장의 이해

 

ETF 기본개념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

KOSPI200과 같은 특정 지수 및 특정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유통)되는 펀드.  , 지수(가격) 동형 펀드로서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매매되는 상품

 

ETF 개념의 확대

인덱스 구성자산들을 현물로 납입 → 인덱스포트폴리오에 대한 증서의 성격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지수•가격에 연동가능 → 지수•가격에 연동하는 증권

 

ETF와 타 상품들 간의 비교 평가


Index 관련 상품 비교


ETF 특징

투명한 운용 펀드내 보유자산내역 및 현재가격 공시

편리한 분산투자 – ETF 1종목으로도 지수구성종목 전체에 투자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

저렴한 비용 – ETF의 총보수는 연 0.23%~0.66%로 일반펀드대비 낮음, 주식이 아니므로 거래세 없음

높은 환금성 거래소에 상장되어 장중 매매가 가능하여 언제든지 현금화할 수 있음

 

가격구조

ETF는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함께 존재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가격은 두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발행시장에서 CU단위로 설정될 때 PDF(Portfolio Deposit File, CU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 바스켓과 현금으로 구성)를 구성하는 현물바스켓의 시가로 결정되는 ETF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가 발행시장에서의 가격이며, 유통시장에서는 상장된 ETF가 거래되면서 사자세력의 매수호가와 팔자세력의 매도호가간 경합에 의해 결정되는 ETF 증권가격.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두 시장간 가격괴리에 의한 차익거래 기회 발생

ETF가격지표 - 순자산가치(NAV, 이론가치),추정대상 주가지수, 시장가격, 분배금

순자산가치 = ETF 펀드자산 부채 및 관련비용

주당순자산가치 = 순자산가치 / 총발행주식수

시장가격 = ETF가 거래소에서 실제로 체결되는 가격

추적대상 주가지수 = 벤치마크 지수에 일정한 값, 승수를 곱한 값

분배금 = ETF편입주식의 배당금

 

ETF 시장현황

국내 ETF시장은 2008 11월 일 평균 거래대금 기준으로는 세계 17, 상장 종목수 기준으로 세계 12,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의 동경증권거래소에 이어 2위를 기록함.

200910월 기준으로 종목수가 48개종목으로 2002 10 4종목으로 출발한 이후로 7년만에 10배 증가

지수별 규모는 시장대표지수 ETF55%, 국고채 ETF 26%, 테마ETF8%, 해외ETF6%

자본시장법령 개정 등 규제완화로 국고채ETF(7), 인버스ETF(9), ETF(11) 상장

ETF 거래규모는 2005년 이후 증가세 보이며, 금년 일평균 거래대금은 1,283억원(전년대비 31%증가)

전세계 ETF 숫자는 1,819, 자산규모는 9,335억 달러 (200년대 이후 23배 성장)

ETF는 세계40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96개 운용사가 ETF를 운용중(‘09 9월말 기준)

 

유형별 상장종목수 현황


ETF 상품 종류


시장대표지수 ETF

KOSPI200혹은 KRX100과 같이 전체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지수,ETF중에서 변동성이 제일 낮음 (수익성, 안정성, 건전성 등 다양한 재무기준에 비추어 종목선정, 시가총액 비중 15% 상한제한)

섹터지수 ETF

자동차, 반도체, IT, 조선, 미디어통신, 은행, 증권 등 특정 업종에 소속된 기업에 분산 투자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면서 시장평균수익 이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 동일 산업에 소속된 기업들의 주가는 업황, 계절적 수요 등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격변동성은 주식보다는 낮으나 여타 다른 ETF 상품보다는 높음. (유동성, 재무기준, 유동비율 요건을 충족하고 시가총액순으로 구성, 25% 시가총액 상한제한 적용됨)

스타일지수 ETF

기업특성과 성과형태가 유사한 주식집단으로 구성된 지수. 시가총액 크기에 따라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등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가치주, 성장주로 분류한 상품임. ( 가치주ETF PBR, PER, 배당수익률 등 지표상 기업의 내재가치보다 저평가된 종목을 편입, 성장주ETF는 매출액, 순이익증가율 등이 높아 미래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종목을 편입함) 스타일지수ETF의 대상지수인 MF지수는 FNGUIDE가 산출해서 발표

해외지수ETF

중국, 일본, 브라질, 라틴, 브릭스 등 5개 해외 ETF가 상장되어 있으며 저렴하고 손쉽게 해외 펀드를 매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며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 있음. 해외ETF는 국내시장 침체 시에도 대안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 차원 높은 분산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음. 하지만 해외 시장의 거래시간과 국내 거래소 시차로 인해 실시간 거래라는 ETF 장점은 해외지수 ETF에서는 많이 희석됨.

테마 ETF

ETF시장이 성숙되어 감에 따라 투자자의 요구에 맞추어 테마주 펀드 성격이 가미된 펀드로 지금까지 발행된 테마 ETF대상지수는 주로 에프엔가이드(FNGUIDE)와 매일 경제신문이 공동으로 만든 MF라는 이름의 지수 형태로 산출되어 발표되고 있음

향후 도입 가능한 ETF (현재 도입 진행중인 ETF)

상품(Commodity) ETF

, 원유, 밀 등과 같은 상품 가격을 나타내는 지수를 추적

(FOOD-옥수수, , , 코코아, 커피, 오렌지주스, 설탕 / 산업자재 구리, , / 에너지 원유, 등유, 천연가스, 전기  / 귀금속 , , 알루미늄 / 가축(livestock) – , 돼지)

레버리지 ETF

레버리지 ETF는 지수변화의 일정배율(보통 2)이상 연동하는 운용성과를 목표로 하는 ETF

인버스 ETF

지수변화와 역방향으로 일정배율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ETF로 통상적으로 -1배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품

채권 ETF다양한 채권을 바스켓으로 구성해 채권 지수의 변화와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구성된 인덱스펀드이면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할 수 있는 투자 상품. 채권 ETF ETF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채권의 장점까지 가지고 있는 상품

국고채프라임지수(KTB Prime Index)

국고채권의 실시간 움직임을 반영하는 공신력 있는 지표로서 국내 최초의 산출되는 실시간 채권지수임.

특수 ETF

사회적기업(SEI)ETF, 사모펀드 ETF, 샤리아ETF, 섹터 로테이션 ETF, 인프라 ETF, 주식 애널리스트 ETF, 테마 ETF, 펀더멘털 ETF

 

거래비용

거래비용 = 연간보수(운용보수 + 판매보수 + 수탁보수 + 사무수탁보수) + 수수료

일반적으로 판매보수가 가장 높은 운용보수가 두 번째로 높음

 

주요 펀드의 유형별 평균 연간보수 현황

 

우리나라 ETF 시장의 문제점

주식시장대비 ETF시장 규모 영세 시가총액 대비 ETF 자산규모는 0.39%로 주요국 대비 열위

주용국별로  미국 4.42%, 유럽 1.77%, 홍콩 0.94%, 일본 0.75% 수준

한국 ETF시장 규모는 세계 11 (자산총액 기준)

미국 > 독일 >프랑스 > 영국 > 캐나다 > 일본 > 홍콩 > 스위스 > 멕시코 > 중국 > 한국 > 대만….

선도적 ETF 자산운용사 부재

국내 1 ETF운용사의 자산총액은 1 9천억원 수준(세계 25위는 3 4천억원 수준)

기관 투자자(연기금, 은행, 보험) ETF 참여 저조

펀드와 증권을 제외한 기관투자자의 참여 저조, 반면 세계적으로 ETF를 활용하는 기관투자자수는 2,717

ETF에 투자하는 기관투자자도 투자자문사, 헷지펀드, 연기금, 보험회사 등 다양함

 

ETF 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 중

국민연금 등 연기금의 ETF 시장 참여 필요

퇴직연금 등 장기, 안정적 투자 수요 흡수

ETF의 특징과 장점에 대한 홍보 및 교육 강화

직접투자가 미숙한 투자자를 위해 ETF 활용 간접투자상품 개발 확대 증권사 WRAP, 은행 특정금전신탁, 변액보험

다양한 ETF Brokerage 업무 개발 일반투자자를 위한 ETF대주업무, ETF를 현,선물 차익거래서 현물 상품으로 이용

증권회사의 ETF를 활용한 상품 개발 미국 증권사는 개인투자자에게 ETF를 활용한 자산배분서비스 제공

외국 ETF의 국내상장을 통한 우량 ETF 공급 삼성투신이 운용하는 KODEX200 ETF도 동경증권거래소에 상장됨

투자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상품 개발 자통법 개정으로 신정ETF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신종 ETF 현황

 2009년 자본시장법 도입 이후 다양한 종류의 ETF 상장 / 출시 예정

2009 2월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다양한 기초자산에 대한 추적이 가능한 법적 근거 마련

2009 9월 리버스 ETF 상장

2009 10 Gold ETF샂아

다양한 상품개발 및 일반펀드와 과세 형평을 고려한 세제 개편안이 발표

선물, 스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Commodities, Currency ETF 출시 기대

 

신종 ETF 상장 예정

주가지수의 구성종목을 현물 바스켓으로 편입하여 구성하는 일반적인 현물납입의 방법 외에 금전납입이 가능해지면서 선물, 스왑 등 다양한 파생상품의 활용을 통해 ETF 상품 상장 가능.

상품, 통화, 일정배율의 Inverse / Leveraged ETF등 의 출시가 가능해지면서 펀드가 아닌 ETF만을 가지고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게 됨.

Swap – based ETF

추적대상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해당 지수에 대한 Swap으로 확보하여, 현물자산의 편입 대비 추적 오차 최소화 가능, 장외 파생상품을 이용하기 때문에,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신용위험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음

Currency ETF

최근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급등하며 외환 관련 Exposure의 적극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 저렴한 비용으로 환헤지 / 환투자 가능하다는 것이 최대 장점, CurrencyShares, PowerShares등의 운용사에서 상품 출시함.

Commdities ETF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품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ETF, 기존 상품 관련 지수를 추정하는 ETF와 실물을 직접 신탁하여 구성하는 ETF로 나뉨. , 은 등의 금속과 원유,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ETF가 가장 활발히 거래되고 있음.

 

ETF를 활용한 다양한 투자 방법 – ETF로 투자가능한 포트폴리오


해외 ETF 현황

빠른속도로 성장, 다양한 상품군 형성, 우량한 기관 투자자가 시장을 형성, 시장에서 많은 괌심(높은 거래량)

ETF를 활용하는 기관투자가 중에서 Investment Advisors Hedge Fund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ETF 시장의 미래 발전

새로운 투자 대상인 ETF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

기관투자가 이중 보수 이슈 → 새로 상장된 투자 수단의 관점으로 바라볼 것, 직접 투자 대상)

개인투자가 대박을 노리는 개인 투자자  → 자산배분의 툴, 다양한 투자수단

운용자 - Passive투자 자산에 대한 거부감 → 포토폴리오와 자산 배분 차원에서 효율적 관리 가능

AP/LP손해보는 비즈니스라는 인식  ETF를 활용한 적극적인 수익 모델 개발

 

ETF 시장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계획

세제 개편()에 신속한 대응으로 신종 ETF 도입 촉진

글로벌 선진 ETF 시장 기반 구축을 위한 외국 ETF의 국내 상장 검토

Active ETF 등 도입 가능한 신상품 타당성 검토

ETF LP 분기별 평가 실시 – ETF LP평가제 도입(09 7), 평가시기-09 4/4분기분부터 적용/공표

ETF LP 인센티브 지급 방안-LP평가점수에 따라 해당분기 대량매매 거래수수료를 차등하여 유동성 공급지원비로 환급

원격지 LP도입 검토 – EFT 전문LP 제도

연기금 등 대표 기관투자자 방문 및 마케팅

ETF 활용도 제고 필요 및 개인투자자에 대한 ETF 인식 제고

ETF 홍보강화 – 09 6개 집합투자업자와 ETF 공동 홍보 실시

집합투자업자, LP, AP 및 거래소간 정례적인 의사소통 채널 구축

글로벌 선진 ETF 위상 확립을 위한 국제회의 개초 추진 (2010 3/4분기 예정)

ETF & Indexing Investment Europe 2010참여 – KRX ETF 홍보를 위한 별도 부스 설치/운영 (2010 3/4분기 예정)

ETF 생산 및 판매자에 대한 Incentive scheme – ETF Sopping Mall 설립, 투자사이트에 ETF 코너신설

[용어]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 – ETF의 설정과 해지요청을 대행하는 증권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 지정참가회사(AP)중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겸하는 증권사

PDF(납부자산구성내역, Portfolio Deposit File) - ETF포트폴리오의 단위인 1CU의 구성 내역

CU(설정단위, Creation Unit) - ETF에서 설정과 해지가 이루어지는 최소단위,보통 1CU는 수만좌에서 수십만좌로 구성

NAV(순자산가치, Net Asset Value)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주식, 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을 포한한 ETF 순자산 가치


ETF(Exchange Traded Fund, 상품지수투자신탁) 상품구조 - ETF설정, 환매 프로세스

현물이체(In-kind Creation & Redemption)를 통한 펀드 설정, 환매구조

설정 : 투자자가 매수(보유)한 주식바스켓을 PDF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펀드 수탁은행에 납입

환매 : 투자자가 매수(보유) ETF를 펀드 수탁은행에 납입후 PDF(주식바스켓)로 수령

기관, 법인 투자자들만 설정, 환매를 통해 ETF발행시장 참여 가능

PDF(Portfolio Deposit File): ETF설정, 환매를 위한 단위 포트폴리오(주식, 현금으로 구성)

 

ETF장점


ETF 단점


ETF 매매방법

개별주식과 동일, 전국 모든 증권사 지점 및 홈트레이딩시스템을 통해 매매 가능

매매단위 : 09:00~15:00, 시간외 시장

호가가격단위 : 5

매매수량단위 : 1

가격제한폭 : 상하 15%

주문 종류 : 지정가주문, 시장가주문, 조건부지정가주문, 최유리지정가주문, 최우선지정가주문

공매도 : 허용, 주식시장과 달리 직전가 이하의 공매도 주문 허용

거래가격 > 추정NAV : 고평가 되었을 때는 추정 NAV가격이 될때까지 기다린후  매수해야 한다

거래가격 < 추정NAV : 할인된 가격에 매수


 

ETF활용 전략

Core-Satelite Stratege(핵심-위성 전략)

자산배분 전략의 한가지로 여러ETF및 기타 상품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 구성

핵심자산-시장대표지수 추정 ETF, 위성자산-스타일, 해외ETF, 국내, 햇지 등

Cash Equitization : MMF 투자 대신 단기간 시장수익률 획득 목적으로 ETF 활용

Long/Short Strategy : ETF, 개별종목 및 기타 자산간의 상대가치를 이용한 시장중립전략

Arbitrage(차익거래) : ETF, 주식현물, 주가지수선물, 주가지수옵션간의 가격괴리를 이용한 전략

Short Selling(공매도전략) : ETF대주를 이용한 공매도 전략(ETF공매도시 up-tick rule적용되지 않음)

단기매매(Day trading) : ETF매도시 거래세 0.30%가 면제되기 때문에 단기매매전략에 활용 가능 


매매수수료 (15,320 x 10 = 153,200 * 0.015% = 23), 매수,매도 수수료 총 46, 거래세 면제로 460원 절감

2호가 변동시 (15,330 x 10 = 153,300원 – 153,200 = 100원 차익 -  매수,매도 수수료 46 = 54원 이익)

                                     


'한단계씩 이해하기 > 산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지노 산업  (0) 2010.06.29
자동차부품  (0) 2010.06.14
기계(플랜트기자재/건설기계/공작기계)  (0) 2010.04.07
반도체 및 반도체장비  (0) 2010.04.07
통신장비  (0) 2010.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