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계씩 이해하기/산업의 이해

통신장비

im.grace 2010. 4. 7. 11:00

통신장비(유선통신 + 무선통신)


왜 통신장비 업체인가? 글로벌 통신장비 업황이 바뀌고 있다

글로벌 통신 인프라 시장은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른 여파로 사업자의 네트워크 개보수 투자 둔화로 09 11% 역성장

데이터 트래픽 급증에 따른 유무선망 투자가 확대되는 2010년부터 재성장으로 추세 전환

4G(4세대, 이동중 초고속인터넷)네트워크 본격도입이 예상되는 2013년에는 5%이상 성장 전망

국내 통신 장비업체 주가는 글로벌 업체 주가와 높은 상관관계 보임

 

무선트래픽이 왜 증가하는가?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 → 무선데이터 트래픽 증가 / 통신과 방송(IPTV)의 융햡

Home Network활성화(가정용 무선랜)

스마트폰 사용자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기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다양한 경로로 접속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감안시 이동 중 다운로드로 무선망을 활용한 다운로드가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

아이폰을 전세계 최초로 도입한 AT&T는 도입 이후 트래픽이 4년 사이에 50배 증가

국내 단독으로 아이폰 사용자의 무선데이타 사용량은 일반 3G가입자에 배해 약 20배 달함

스마트폰 확산 속에 차세대 통신 기술인 4G(이동중 초고속인터넷)에 대한 관심 증가

스마트폰 주요 장애인 배터리 소모이었다는 점에서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면 배터리 소모가 작다는 점에서도 4G기술 확대 필요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따른 사업자 대책 방안 → 네트워크 장비 수요 자극

대책1)기존 3G통신망 Capacity확대 → ROIC측면에서 사업자에게 부담

대책2)종량 요금제 도입을 통해 불필요한 데이터 사용 억제 → 무선인터넷 활성화 저해 및 규제문제

대책3)Wi-Fi활용하여 데이터 트래픽 분산→ 3G용량 확대 및 4G진화가 예상됨에 따라 Wi-Fi장기적으로 답이 될 수 없음

대책4)국내사업자 와이브로망 확대 구축하여 대체망 활용 → 방통위가 발표한 주파수 재분배 방안은 와이브로망 확대구축 유도

 

<방통위가 준비한 주파수 할당 조건>

1) 조건없이 3G이상 네트워크 구축하는 사업자에게 주파수 할당

2) 4G(LTE-Advanced,와이브로 Evolution)이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자에게 주파수 할당

3) 3G이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자에게 주파수 할당 하되 별도의 승인 조건 부여

, 3G이상으로 하되 신규 전송방식인 OFDMA(직교분할다중접속방식-4G통신방식)도입 시 투자를 성실히 이행 해야함

 

국내 설비투자 현황

한국 통신 사업자 Capex - Switching장비와 WiFi장비 투자

2010년 한국 통신 사업자의 Capex 09년 대비 4.3% 증가한 6.2조원 전망

- WiFi투자, 3G망 업그레이드, IPTV용 가입자망

SKT 1.75조원 투자  - WiFi투자는 AP Switch위주로 투자되고 신규 통신 인프라 투자는 미미할 것임

또한 공공 장소 중심으로 Hot spot설치하고 멤버쉽 제휴가 중심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발표함

KT 3.2조원 투자(yoy 8.2%) - 대부분 투자는 Wibro 전국망 투자와 WiFi에 할당 될 것임

 

단기적- 유선통신장비업체 수혜 / 장기적-무선통신장비업체 수혜

범세계적으로 4G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규모 투자 단행 가능성이 낮으며 무선 트래픽 증가로 사용자 불만이 높아지는 지역에 대해서만 증설 투자 단행할 가능성 높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로 말단 이동통신 무선 인프라 네트워크 확충(백홀 증설)하기 보다는 비용이 저렴한 대용량 유선 네트워크 확충을 통해 설비투자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음.

단기적) LTE투자와 네트워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Router, Switch 장비와 Switching 장비 업체에 관련 PCB업체 투자 증가

교환장비 시장의 매력은 통신 사업자 이외에 기업체 수요가 있음  - 교환장비는 전송장비외 달리 Cisco 등 세계적인 업체들이 통신 인프라 수요 감소 속에서도 성장하였는데 가장 큰 이유는 통신 사업자 이외에 기업체라는 전방 시장이 있기 때문임

장기적) 모바일 백홀 업그레이드 수요 강세로 기존망 효율성 향상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관련 장비 수요 증가 할 것임

(이동통신 장비 핵심인 송수신 장비는 기지국, 고주파 증폭시키는 중계기 수요 증가)

 

통신망 구조의 변화

데이터트래픽 증가는 무선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망에도 영향을 미침 (최대 수혜는 기지국과 Backhaul 관련 기업)

유선 지정된 특정장소에서 이동하지 않고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면 유선망을 통해 처리 (ex WiFi)

무선 가입자가 이동하며 무선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면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트래픽 발생 (ex 3G, 4G)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 분산 = 유선 + 무선 네트워크 영향

중계기시장은 펨토셀(소형AP, 각가정설치)와 RRH(소형기지국, 진입장벽낮음)으로 대체되어 중계기시장 축소됨

무선 - 백본망(공통, 서울-부산) → 백본홀(음성,데이터) → 기지국(이동통신송수신-가입자) → 중계기(고주파증폭)

유선 가입자망을 통해 무선AP(Wi-Fi, 특정된장소에서만 사용)이용

유선 - 백본망(공통, 서울-부산) → 도시망(강남 전화국-서초 전화국) → 가입자망 (서초 전화국 – 개인 가입자)

 

모바일브로드밴드 활성화는 유, 무선 네트워크 모두에게 영향

유선보다 무선 네트워크 망에 미치는 영향이 큼 (이미 유선은 일정수준 고도화, 유선망 투자는 스마트TV기반으로 진행)

무선의 기지국과 Backhaul 부분의 변화가 크다

유선 Backbone장비는 외산업체가 장악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Backbone장비와 유선Access장비만 한국 업체들 차지

광전송장비 10G 이상은 외산 업체들이 주도하며 국내업체는 저용량 장비 제조




 

네트워크 망 구간별 시장전망과 관련업체

4G > Backhaul 관련 기업에 주목 - 이노와이어리스(4G 기지국) > 다산네트웍스(백홀)

이노와이어리스– 주력제품은 계측장비와 시험장비, 국내 통신장비 업체중 4G기술력이 가장 높음, 완벽한 글로벌 판매망

계측장비는 단말기, 기지국, Celluar 등을 시험하는 제품으로 개발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임 (통신사 + 단말기업체)

시험장비는 양산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임

전세계 최대 계측장비 미국 Agilent를 통해 납품, 시험장비는 일본 교세라 그룹의 KDDI자회사를 통해 글로벌시장에 납품

다산네트웍스- 초고속인터넷 장비, VoIP 단말기, IPTV 셋톱박스 네트워크 전문업체, 일본에 모바일 백홀(Backhaul)장비 수출

 


국가별 4G도입 예정시기

당초 2012년 이후로 예정되었던 4G조기 도입시기가 2010~2011년으로 앞당겨짐

급증하고 있는 무선 데이터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통신서비스 사업자업자가 보유한 옵션은 두 가지 3G증설과 4G조기도입

 

 

향후 유선망 투자는 스마트TV 를 기반으로 보급 (무선 네트워크장비 대비 수요는 낮음)

과거 유선망은 가입자들의 PC사용을 통해 충분히 Capex를 투자해 놓은 상황으로 가적인 Capex 진행은 크지 않을 것

최근 국내를 비롯해 미국, 일본, 일부 유럽 등 초고속인터넷 유선망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컨텐츠 다운로드 혹은 실시간 동영상 시청을 통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트래픽의 양은 크지 않을 것임

다만, 전세계적으로 인터넷TV 보급이 활성화될 시 그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

유선망에 대한 투자는 국가마다 다를 것임

미국, 일본, 유럽 등 유선망이 보편화되어 있는 국가에서는 추가 증설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것임

인도, 중국, 러시아 등 기존 유선망이 폭 넓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국가에서는 무선망 투자로 유선망을 대체할 것임

 

 

4G로 가기 위한 필수조건 Backhaul RRH

무선 네트워크 망을 세분화해 보면 데이터트래픽 증가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진 부분은 기지국과 Backhaul 부분

Back Bone망은 유선과 공통적으로 사용되어서 추가적인 데이터트래픽 부담 상대적으로 적을것임

Backhaul은 기지국과 Back Bone을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 망으로 기존에는 무선 네트워크 망에서는 음성 중심으로 설계가 되어 있었으나 Backhaul 부분에 데이터트래픽이 유통되며 과부하 현상이 속출하여 음성 통화품질 저하 현상들을 발생

기존Backhaul과 별도로 데이터전용 Backhaul을 신규로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

4G로 진화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 속도는 현재의 7.2Mbps에서 80Mbps(현재 LTE 80Mbps 시험단계 중)로 빨라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Backhual과 기지국의 기술변화가 있어야함

현재 Backhaul의 기술변화는 G-Pon장비로 기지국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망을 신설하는 것이 상용화되었으며,

기지국은 소형기지국 형태인 RRH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음

중계기 시장은 펨토셀(소형AP, 각가정설치) RRH(소형기지국)가 기능을 대체하면서 중계기 시장은 축소될것임

RRH는 소형기지국 장비로 현재 전세계 통신시장에서 차세대 기지국 기술로 각광

기존 기지국 주변에 소형기지국 형태로 연결되어 자체적인 데이터트래픽 처리와 커버리지(서비스 가능지역) 확대 기능을 보유

기지국의 RF Digital부분을 나누어(기지국 Digital부분, RRH RF부분) 설치함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향후 중계기 대체효과가 있어 네트워크 고도화에 따른 Capex 축소 영향

RRH 제조업체는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 웨이브일렉트로가 있으며 RRH시장의 진입장벽은 예상 보다 높지 않고,

향후 수익성은 영업이익률 기준 10%내외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이동통신 기술진화 로드맵



'한단계씩 이해하기 > 산업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플랜트기자재/건설기계/공작기계)  (0) 2010.04.07
반도체 및 반도체장비  (0) 2010.04.07
원자력발전  (0) 2010.04.07
손해보험  (0) 2010.04.07
제약 산업  (0) 2010.04.07